어제에 이어 23년 하반기 미국 주식시장 전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어제 포스트를 보지 않으신 분은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여 그 포스트를 먼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올 하반기 나스닥지수 및 S&P500 지수를 전망하는 데 있어서 오늘의 내용보다는 어제 포스트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어제자 포스트를 읽어보셨다는 가정 하에 작성해 보겠습니다.
<클릭> [1/2] 2023년 하반기, 미국 주식시장 전망(나스닥지수,S&P500지수)
[1/2] 2023년 하반기, 미국 주식시장 전망(나스닥지수,S&P500지수)
2023년 하반기도 벌써 한 달이 지나갔습니다. 개인적으로 7월 한 달은 이것저것 하느라 정신없이 지나갔는데요. 특히 지난달에는 미국주식 포트폴리오 변경에 신경을 많이 썼습니다. 그 이유는
greatstart.tistory.com
③ CBOE Volatility Index
하반기 미국 주식시장 전망에 참고할 세 번째 지표는 'VIX 지수'입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BOE)에서 상장되어 있는 VIX는 S&P500 지수의 옵션 가격을 기초로 해서 향후 30일간 풋옵션과 콜옵션 가중 가격을 결합하여 산정합니다. 어려운 지수산정 방법은 기억할 필요 없습니다. 그렇게 중요한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냥 VIX 지수에 대해서 쉽게 설명해 드리면 VIX 지수는 앞으로 30일 동안 S&P500 지수가 얼마나 변동할 것인지 투자자의 생각을 반영합니다.
그래서 VIX 지수는 '공포 지수'나 '변동성 지수'로 주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S&P500지수나 나스닥지수가 하락하게 되면, VIX 지수는 상승하고 반대로 미국 주식시장이 오르면 VIX 지수는 하락하게 됩니다. 주식시장과는 반대로 가는 VIX 지수의 이러한 성향 때문에 단기적인 시장의 방향을 파악할 때 널리 쓰입니다. 보통 VIX가 30 이상일 경우 곧 미국 주식시장 조정이나 하락을 예상해 볼 수 있고, VIX가 15 아래에 위치해 있다면 조만간 나스닥 지수나 S&P500 지수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위 이미지가 최근 5년 VIX 지수 차트입니다. 23년 8월 1일, VIX 지수의 현재 위치는 13.63입니다. 지난 5년간의 최저점에 있다도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VIX지수는 10~30 사이를 왔다 갔다 합니다. 일종의 사이클을 형성하는데, 조만간 이 VIX지수가 오르게 되어서 미국 주식시장은 단기적으로 조정을 받게 될 것을 조심스럽게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추가로 VIX 지수 보기(클릭) 링크를 통해서 VIX 지수를 확인하시고, 북마크 해서 계속 모니터링하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④ S&P500 PE Ratio
올해 하반기 미국 주식시장 전망, 마지막 참고할 지표는 S&P500 지수의 PER입니다. PER은 주식시장에서 가장 유명하고 인기 있는(!) 지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혹시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PER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해 드리면 현재의 시가총액을 순이익으로 나누는 것으로 멀티플(Multiple)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그러니까 현재 시가총액이 1,000억 원이고 당기순이익이 100억 원이라면 PER(멀티플)은 10배가 되는 것입니다.
S&P500 지수의 PER은 S&P500을 구성하는 종목의 전체 시총을 500개 전체 기업의 순이익으로 나눈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위 이미지가 Trailing 기준* 1926년부터 현재까지의 S&P500 지수의 PER 차트입니다. 현재 S&P500 지수의 PER은 26배 정도로 보입니다. 미국 주식시장의 PER을 산정한 이래로 지금까지 평균 16배 정도의 PER을 받았으니, 26이라는 수치는 다소 높은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하지만 단순히 PER(멀티플)만을 가지고 고평가냐, 저평가냐를 따지기는 어렵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에 혁신이 일어나서 시장참여자들이 시장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고, 이 때문에 멀티플이 올라간 것일 수 도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국내 주식시장의 '에코프로'나 '에코프로비엠' 같은 사례를 보면 기업의 사업의 내용이 앞으로 돈을 많이 벌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되면, 얼마든지 멀티플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역사는 반복되어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따라서 언젠가는 역대 평균 PER인 16으로 수렴하는 날이 올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PER로 올해 하반기 미국 주식시장을 전망할 때는 조금은 고평가(Overvalue) 되었다고 말할 수 있겠지만 이 수치만으로는 속단할 수 없음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Trailing(후행) : 최근 4개 분기의 순이익으로 PER을 계산
⑤ 결론
어제와 오늘, 23년 하반기 미국 주식시장을 전망하며 4개의 참고지표를 살펴봤습니다. 우선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인 ① 'OECD 경기선행지수'는 하락추세에서 상승으로 전환하며, 올 하반기 미국 주식시장의 상승을 예고했습니다. 그다음 ② '공포와 탐욕지수'는 Extreme Greed 상태로 단기적인 조정을 예상했고, 오늘 살펴본 ③ 'VIX 지수' 역시 단기적 하락을 할 수 있음을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끝으로, ④ S&P500 지수의 PER도 신뢰도는 많이 떨어지지만 현재 고평가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위 네 가지 지표를 토대로 남은 올해 미국 주식시장을 예상해 보면 [중기적으로 상승할 것이 예상되지만, 조만간 약한 조정을 보일 수도 있겠다]라는 결론을 낼 수 있겠습니다.
이상으로 23년 하반기 주식시장 전망 포스트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어제와 오늘, 양일간의 지표를 통한 미국 주식전망 포스트는 초보 투자자인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기 때문에 단순 참고로 사용하시길 부탁드립니다. 또한, 포스트 중 이해 안 가는 것이 있으면 댓글을 남겨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제가 아는 선에서 최대한 상세하고 쉽게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에서 ETF를 선호하는 이유 (0) | 2023.08.24 |
---|---|
영화 머니볼 명대사를 주식투자에 적용해 보기 (2) | 2023.08.03 |
[1/2] 2023년 하반기, 미국 주식시장 전망(나스닥지수,S&P500지수) (0) | 2023.08.01 |
나도 주식고수 될 수 있다! '캔슬림' 매매법 <윌리엄 오닐> : 세계적인 투자의 대가(6)-2 (0) | 2023.07.30 |
나도 주식고수 될 수 있다! '캔슬림' 매매법 <윌리엄 오닐> : 세계적인 투자의 대가(6)-1 (0) | 202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