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공포와 탐욕지수는 무엇인가?
공포탐욕지수(Fear and greed Index)는 경제 및 주식 관련 뉴스를 공급하는 CNN 비즈니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수입니다. 주식시장에서 과도한 공포가 만연할 때 주가를 끌어내리는 경향이 있고, 지나친 탐욕에 의해서 주가에 거품(버블)이 낀다는 논리를 따라서 만들 지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주가는 사람들의 심리가 결정하고, 그 심리를 수치화 한 지수인 것입니다.
코로나 팬데믹에 대한 공포가 극에 달했던 2020년 3월의 코스피 차트를 보면 사람의 공포로 인해 투심을 얼어붙게 했고 결국엔 투매로 이어지는 결과가 발생했습니다. 반대로, 2022년 초반에는 (펜데믹에 의해서) 시장에 풀린 자금이 너무 많아졌고 이러한 유동성은 사람들의 지나친 낙관을 불러와서 거품이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공포와 탐욕이 공존하는 주식시장의 특성을 잘 알고 있던 살아있는 레전드 워런 버핏(Warren Buffet)은 1986년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서한에서 "투자자라면 다른 사람들이 탐욕스러울 때 두려워하고, 다른 사람들이 두려워할 때 욕심을 내는 것이 현명하다"라고 말했습니다.
어쨌든 '공포와 탐욕지수'는 이러한 시장 특성을 이용하여 지금이 우리가 주식을 살 때인가, 아니면 팔 때인가를 제시해주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② 공포탐욕지수의 구성요소는?
시장의 분위기를 측정하는 7가지 지표들을 종합해서 만들었습니다. 세부적인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MARKET MOMENTUM(시장 모멘텀) | 현시점 S&P500 지수와 125일 이동 평균 |
STOCK PRICE STRENGTH(주가강도) | 뉴욕증권거래소 52주 최고가 및 최저가 주식수 |
STOCK PRICE BREADTH(주가폭) | 상승종목 거래량 대비 하락종목 거래량 비율 |
PUT AND CALL OPTIONS(풋/콜옵션 비율) | 풋옵션 대비 콜옵션 비율 |
MARKET VOLATILITY(시장 변동성) | 현시점 VIX지수와 50일 이동 평균 |
SAFE HAVEN DEMAND(안전자산 수요) | 최근 20일 미국 국채와 주식 수익률 차이 |
JUNK BOND DEMAND(저신용채권 수요) | 정크본드와 국채의 수익률 스프레드 |
공포와 탐욕지수는 7가지 지표를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해서 평균을 낸 후 0점~100점의 점수로 계산한 것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그러니까 Fear and greed Index가 100점이라면 시장 구성원들의 '탐욕'이 최대가 된 것이고, 0점이면 투자자들의 '두려움'이 극한에 달한 상황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한편 이 지수의 구성요소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계속해서 변동하기 때문에 공포탐욕지수의 수치도 계속 변한다는 사실을 인식해 주시기 바랍니다.
구성요소를 쭈욱 적어보니 내용이 좀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그냥 시장의 분위기를 측정할 수 있는 각기 다른 7개 지표를 섞어서 비빔밥을 만들었다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아주 좋아하는 지표 중에 OECD 경기선행지수(Composite Leading Indicators)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도 몇 가지 지표를 혼합해서 만든 것입니다. 경기선행지수에 관련해서는 추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③ 공포와 탐욕지수의 사용 방법은?
시장의 분위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버핏 옹이 말씀하신 것처럼 우리는 사람들이 두려워할 때 탐욕을 부려야 할 것이고, 타인이 탐욕을 부린다면 우리는 두려움을 느껴야 합니다. 즉 공포탐욕지수의 점수가 낮을 때 주식을 사고, 점수가 높을 때 주식을 팔아야 하겠습니다.
위 이미지는 최근 1년동안의 Fear and greed Index 타임라인입니다. 주로 25~75점 내에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지수가 25점 전후에 위치해 있다면 주식을 매수하면 되고, 75점 위아래에서 자리 잡고 있다면 주식을 매도하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겠습니다. 아, 그리고 미국 주식 매매에 참고하는 데 유용한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 외에 국내나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의 증권시장에서 주식을 거래할 때 이 지표를 사용하면 잘못된 시그널이 발생할 수 있다는 걸 염두 부탁드립니다.
0점 ~ 25점 | EXTREME FEAR(극도의 공포) |
26점 ~ 45점 | FEAR(공포) |
46점 ~ 55점 | NEUTRAL(중립) |
56점 ~ 75점 | GREED(탐욕) |
76점 ~ 100점 | EXTREME GREED(극도의 탐욕) |
위처럼 직관적으로 점수를 5가지로 나눠서 게이지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보기 편하게 구성된 만큼 공포탐욕지수를 볼 수 있는 페이지를 북마크 해놓고 자주 확인하시길 추천드립니다. 한편 미국장을 거래할 때에도 이 지표는 투자하는데 단순히 참고를 하는데 사용해야지 단지 이 지수의 수치만을 가지고 주식을 사고파는 우를 범하면 안되겠습니다. 보조지표는 말 그대로 '보조'라고 생각해 주십시오.
참고로 현재 위치는 '탐욕'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도, 미국도 최근에 많이 상승한 것을 반영했다고 생각해 볼 수 있겠네요. 이 공포와 탐욕지수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하시고, 좋은 결과로 이어지길 기대하겠습니다.
공포탐욕지수(Fear and greed Index) 바로가기 [클릭]
Fear and Greed Index - Investor Sentiment | CNN
The market is made up of thousands of stocks. And on any given day, investors are actively buying and selling them. This measure looks at the amount, or volume, of shares on the NYSE that are rising compared to the number of shares that are falling. A low
www.cnn.com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 투자자가 배우기 좋은 교육적인 주식책 추천서적 5선 (2) (2) | 2023.06.03 |
---|---|
초보 투자자가 배우기 좋은 교육적인 주식책 추천서적 5선 (1) (0) | 2023.06.02 |
미국주식 초보라면 Finviz(핀비즈)를 활용해보자 (0) | 2023.05.30 |
Chat GPT 4.0에게 애플(AAPL)이 투자하기 좋은 회사인지 물어봤더니 [feat. 워런 버핏] (0) | 2023.05.28 |
미국 고배당(월배당) ETF, JEPI의 관한 모든 것 (0) | 2023.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