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주식 초보 기준으로 밸류에이션을 해보자 ② - 국세청의 기업가치평가

by GreatS 2023. 7. 2.
반응형

밸류에이션 관련 포스트 2부, 오늘은 세법에 있는 기업가치평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제 올린 <현명한 초보 주식투자자>의 밸류에이션 기법에 관련한 포스트를 못 보신 분들이라면 이걸 먼저 보고 오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먼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바로가기] 주식 초보 기준으로 밸류에이션을 해보자 ① - 현명한 초보 투자자

 

주식 초보 기준으로 밸류에이션을 해보자 ① - 현명한 초보 투자자

[국어사전] 밸류에이션 : 애널리스트가 기업의 현재 가치를 판단하여 적정한 주가를 산정하는 일 가치투자를 하는 사람에게 밸류에이션은 빼놓을 수 없는 것입니다. 가치보다 저렴하게 주식을

greatstart.tistory.com

 

오늘의 포스트는 세법상 나와 있는 비상장기업의 가치평가 방법입니다. 기법의 출처가 '세법'이기 때문에, 저는 국세청의 밸류에이션 기법이라고 말합니다. 그럼 뜬금없이 왜 세법에 기업가치평가 방법이 들어가 있을까요? 그것은 비상장기업 주식의 시가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 시가를 통해서 증여세, 상속세 등 각종 세금을 매겨야 하는데 그것이 불가능합니다.

 

코스피, 코스닥 등 거래소에 등록된 상장 기업이라면 그냥 주식 시장에서의 현재가를 참고하면 됩니다. 하지만, 비상장기업은 주식 거래가 드물기 때문에 시가가 형성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법상의 가치평가 방법을 통해서 기업의 가격을 매긴 후 각종 세금을 부과하게 되는 것입니다.

 

국세청 엠블럼

 

그런데 그 국세청의 밸류에이션 기법이 상장기업의 가치평가에도 꽤나 유용합니다. 왜냐하면 세법상의 기업 가치평가 방법이 정교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가끔씩 주식 투자 전 상장기업을 밸류에이션 할 때, 이 국세청의 기법을 이용합니다.

 

제가 이 국세청 밸류에이션 기법을 알게 된 것은 국내 가치투자 전문가이신 서준식 교수님의 저서 <다시 쓰는 주식투자 교과서>를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국세청 기법이 이 책의 메인 밸류에이션 방법은 아니고, 별도로 워런 버핏이 사용한다고 추정되는 밸류에이션 기법이 책에 실려있습니다. 이 부분도 후속 기업가치평가 관련 포스트를 통해서 올릴 예정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국세청의 밸류에이션 기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법상의 기업가치 = {(수익가치 × 3) + (자산가치 × 2)} ÷ 5

 

수익가치는 기업이 돈을 버는 사업에 대한 가치를 의미하고, 자산가치는 지금까지 기업이 벌어놓은 자산의 가치를 뜻합니다. 쉽게 얘기하자면 지금까지 벌어놓은 돈(자산가치)과 앞으로 돈을 벌 사업의 값(수익가치)의 평균을 내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수익가치엔 3을 곱하고, 자산가치엔 2를 곱하는 것은 자산가치 보다 수익가치에 더 큰 의미를 두는, 가중평균을 적용한 방식이라서 그렇습니다. 수익가치가 자산가치보다 더 값지다고 세법(또는 국세청)에서 인정한 것입니다. 꽤나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업평가에 있어서 지금까지 번 돈보다는 앞으로 수익을 창출해 줄 사업의 비전이 더 중요하니까요.

 

 

 

 

 

 

저번 포스트와 동일하게 오늘도 현대이지웰이라는 기업을 예시로 제시합니다. 아, 현대이지웰을 매수하라고 추천하는 것은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부탁드립니다.

 

① 수익가치를 구하자

수익가치 = {(최근 연도 순이익 × 3/6) + (그 전 연도 순이익 × 2/6) + (전전 연도 순이익 × 1/6)}  × 10

세법상 말하는 수익가치는 최근 3년간의 순이익의 가중평균 구하고 거기에 10을 곱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에 곱한 10이 의미하는 것은 멀티플(Multiple)을 의미합니다. 멀티플로 자주 사용되는 지표가 PER(Price Earning Ratio)인데, 일종의 프리미엄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더 자세한 것은 별도로 검색해 보시길 부탁드립니다.

 

이제 현대이지웰의 수익가치를 구해보겠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현대이지웰의 손익계산서입니다. 이걸 참고해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수익가치를 계산해 보면 1,405억 원이 나옵니다.

[{(152×3÷6) + (154×2÷6) + (79×1÷6)} × 10 = 1,405]

 

현대이지웰 손익계산서 일부 (출처: 컴퍼니가이드)

 

② 자산가치를 구하자

자산가치 = 자산총계 - 부채총계 = 자본총계

국세청 밸류에이션 기법에서의 자산가치는 자본총계입니다. 계산도 필요 없습니다. 다트나 컴퍼니가이드에 있는 가장 최근 재무상태표에서 자본총계를 자산가치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 이미지에서 알 수 있듯이 현대이지웰이 자본총계는 981억 원입니다.

현대이지웰 재무상태표 일부 (출처: 컴퍼니가이드)

 

③ 세법상의 기업가치를 구하자

수익가치도 구했고, 자산가치도 확인했습니다. 그럼 이제 최종적으로 기업가치를 파악할 차례입니다. 위에 기재한 세법상의 기업가치 공식 기억나시나요? 다시 한 번 복기 해보겠습니다.

 

세법상의 기업가치 = {(수익가치 × 3) + (자산가치 × 2)} ÷ 5

 

현대이지웰 Snapshot (출처: 컴퍼니가이드)

 

이제 현대이지웰의 기업가치 계산해 보겠습니다. 수익가치 1,405억에 3을 곱한 후 자산가치 981억에 2를 곱하여 나온 값을 더해서 이 값에 5를 나누면 1,235억이 나옵니다. 이 값은 기업가치 총계로써 우리가 알고 싶은 적정주가는 여기에 발행주식수를 나누면 됩니다. 그러면 약 5200원이 적정주가로 나옵니다. 2023년 6월 30일 기준, 현대이지웰의 종가가 7,580원이 나오니 약 45% 정도 고평가 된 것으로 나옵니다. 투자 검토를 하실 때 이렇게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스크린샷]&nbsp;(위대한출발) 세법 기업가치평가 계산.xlsx

 

오늘 포스트 한 밸류에이션 기법이 계산하기 힘드신 주식 초보분들을 위해서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엑셀파일을 첨부하니 엑셀을 이용해서 쉽게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주식 초보를 위한 밸류에이션 기법 소개 포스트 2탄, 세법상의 기업가치평가 방법 포스트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른 글 보기>

주식 초보 기준으로 밸류에이션을 해보자 ① - 현명한 초보 투자자

주식 초보 기준으로 밸류에이션을 해보자 ③ - 잔여이익모델(RIM)

 

(위대한출발) 세법 기업가치평가 계산.xlsx
0.01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