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주식종목 분석을 위한 10년 재무제표 보는 법(퀀트킹/스톡워치)

by GreatS 2023. 7. 13.
반응형

가치투자를 하려면 회계사처럼  거의 재무제표 모든 것을 뜯어볼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투자를 위한 주식종목 분석을 위해서는 재무제표를 어느 정도는 이해 가능해야 합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주식투자를 하기 위해서 숫자를 통해 기업이 하는 이야기를 알아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소중한 내 돈을 투입할만한 기업인지, 아닌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혹시 주식투자를 위한 재무제표 보는 법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 싶은 주식초보이시면 박동흠 회계사 저서, <박 회계사의 재무제표 분석법> 또는 <박 회계사의 완벽한 재무제표 활용법> 또는 <박 회계사의 사업보고서 분석법> 이 세 권의 책중 하나를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이 3권의 책중 한 권을 다뤘던 추천 주식책 포스트 링크 남겨놓겠습니다. (여기 클릭) 오늘은 이 포스트를 읽는 분이 기본적인 재무제표 보는 법에 대해 알고 계신다고 가정하고 작성해 보겠습니다. 

 

최근 분기 혹인 최근 결산의 재무제표를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실 더욱 중요한 것은 여러 해의 재무제표를 쭉 펼쳐놓고 분석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타임라인을 따라서 기업이 이뤄온 성과를 확인해 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재무제표를 통해서 지나온 과거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다가올 기업의 미래를 예측해 보는 것, 이것이 주식종목 분석을 위한 첫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재무제표를 볼 때 최근 10년 치 재무제표를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우리나라의 전자공시시스템(다트, DART)에서도 10년 재무제표를 확인할 수 있지만, 10년 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노가다를 해야 합니다. 당기부터 10년 전 사업보고서까지 복사해다가 엑셀 등에 붙여 넣기를 해야 볼 수 있는 것이지요. 100개의 주식종목을 분석하다 보면 투자할 만한 기업은 5개 정도밖에 안 되는데, 10년 치를 일일이 복사해서 붙여 넣는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게 됩니다. 빠르게 필터링해서 분석할 가치가 없는 기업은 쳐내야 하는데 말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아주 쉽게 10년 치 재무제표를 보는 법에 관련한 포스트를 올리려고 합니다. 이제 2개의 사이트(또는 프로그램)를 추천할 텐데 이것은 국내 상장된 주식종목분석을 위한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미국 주식 10년 재무제표는 추후 포스트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① 퀀트킹

퀀트킹은 본래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퀀트투자(계량투자)를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퀀트투자로 유명한 유튜버 강환국 작가에 따르면 퀀트킹 프로그램이 너무 유용해서 이 프로그램을 만드신 퀀트킹님의 동상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을 정도로 아주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그러나 꼭 퀀트투자에만 쓰이는 것은 아니라,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재무 관련 정보는 가치투자자의 주식종목 분석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특히 무료회원에게도 10년 재무제표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한때 퀀트투자에 심취했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때는 퀀트킹을 유료로 이용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무료회원으로 이용 중인데도, 주식종목 분석을 위해서 이 퀀트킹 프로그램을 저는 거의 매일 들어갑니다. [종목현황] 탭에서 주식종목 분석을 원하는 기업의 이름을 입력하면 10년 재무제표를 볼 수 있습니다. 

 

퀀트킹KOREA, 종목현황 탭 일부 (삼성전자)

 

좌측에 연간 재무제표가 시계열로 분류되어 있고, 우측 상단에는 최근 5개 분기별 재무제표와 해당 기업의 다트 페이지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기업의 10년 치 성과를 숫자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싶을 때는 다트의 사업/분기/반기 보고서를 통해서 더욱 자세히 주식종목분석이 가능합니다.

 

뿐만 아니라 [재무차트] 탭에서 10년 치 재무제표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저는 주로 PER밴드와 PBR밴드를 통해서 해당 기업의 지금 주가가 지난 10년간의 평균 PER 또는 PBR에 어느 정도 와있나 확인할 때 이용합니다. 그러니까 PER, PBR이라는 주식투자에 가장 유명한 지표를 통해서 간단한 밸류에이션을 할 때 쓴다고 볼 수 있어요. 차트로 표현하였기 때문에 순식간에 현 주가가 싼 지, 비싼지 확인할 수 있으니까 이것도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퀀트킹의 유이한 단점이라면 PC에 설치를 해야 이용가능한 것과 회원가입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회원가입도 아이디(이메일), 비밀번호, 이름, 닉네임 정도의 아주 간단한 정보만을 입력하면 됩니다. 또한 한번 가입하면 그 이후엔 가입할 필요 없이 로그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입하고 이용하시길 부탁드립니다. 퀀트킹 프로그램은 (여기 클릭)하셔서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

 

 

 

 

② 스톡워치

퀀트킹은 반드시 PC에 프로그램을 설치해야만 사용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바일 환경이나 프로그램 설치가 불가능한 곳에서는 퀀트킹을 이용하여 10년 치 재무제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그럴 때 스톡워치를 이용하면 됩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PC에 프로그램 설치가 가능하면 퀀트킹으로 10년 재무제표 확인하시고, 그게 불가능할 때에 스톡워치 활용하시길 추천합니다.

 

과거에는 아이투자닷컴(itooza.com)이라는 사이트에서 10년 치 재무제표 제공을 했지만, 지금은 아이투자에서 스톡워치로 옮겨가면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더욱 다양한 10년 재무정보를 제공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프로그램 설치가 아닌 웹상에서 바로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북마크(즐겨찾기) 해놓으시고 사용하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스톡워치 10년, 실적탭 일부 (삼성전자)

 

스톡워치에서는 10년 실적확인 외에도 [워치리스트]를 통해서 기본적인 주식종목 스크리닝 기능을 제공하고, [통합진단]으로 기본적인 주식종목 분석(특히 밸류에이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퀀트킹의 재무차트와 유사한 [V차트] 탭은 10년 치 재무정보를 그래프로 제공하며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스톡워치의 단점으로는 중간중간 광고가 나온다는 것이 있고, 추가로 로그인을 해야 한다는 것이 있습니다. 하지만 로그인은 네이버, 카카오, 구글의 계정을 통해서 회원가입 없이 바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최초 로그인 시에 딱 1번 개인정보를 동의하냐는 페이지가 나오는데 그것만 해주면 그 뒤로 네이버, 카카오, 구글 계정으로 스톡워치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함 없이 사용가능합니다. 스톡워치는 (여기 클릭)을 하셔서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국내상장 기업의 10년 재무제표 보는 법 포스트를 마치겠습니다. 오늘의 포스트가 가치투자를 지향하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